[Agribusiness] 농업경영 9회 : 경영자원 활용의 가시화로 전체 최적을 실현 한다.
경영자원 활용의 가시화로 전체 최적을 실현 한다.
기업적 농업 경영을 지향해 경영 규모가 확대하면, 매상이 증가해 이익도 증가하는 것은 아닌지? (이)라고 생각하기 쉽상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상정하고 있었을 정도 이익이 증가하지 않고, 깨달으면 적자가 되어 있는 케이스가 많다. 일본 능률 협회 컨설팅(JMAC)이 경영 지원하는 생산자도, 규모 확대에 의한 메리트가 생각한 만큼 않는다는, 과제를 인식해 컨설팅 지원을 요구해 오는 케이스가 많다.
제일의 요인은, 경영 규모 확대에 수반해 경영 자원이 증가해, 그 자원을 유효 활용 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경영 자원은 여러 가지 있지만, 수익상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이 포장, 농업기계, 가공 설비, 종업원, 보관 창고등에서 있을것이다. 이러한 경영 자원을 구입해, 차용하거나 고용하거나 하고 경영을 하고 있지만, 제대로 매니지먼트 되어 있는 농업 경영자는 적다. 가족적 농업 경영으로부터 기업적 농업 경영으로 이행해, 매니지먼트 대상이나 범위가 확대해, 경영자가 적정하게 판단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많은 것이다. 경영 자원의 활용도를 가시화 해, 전체 최적을 지향해 활용하는 것이, 농업 경영의 수익 향상을 실현하는 지름길이다.
농업의 일량은 변동한다
농업은, 재배 공정 마다 일량이 변동한다. 파종·모심기나 수확의 시기는, 일량이 많은 번망기에 일손이 부족하는 한편, 재배 관리 등의 한산기의 일량은 적다. 번망기의 일량에 맞추고, 작업자나 농업기계를 보유하면 그 고정비가 부담이 되어 수익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농업 경영자는, 번망기가 다른 작물을 생산하거나 같은 작물에서도 작부 하는 타이밍을 바꾸거나 하는 것으로, 일량의 평준화를 도모해, 경영 자원을 유효 활용하려고 궁리해 있다. 그렇지만, 기후 등 환경 변화에 의해 예정하고 있던 일이 전후에 어긋나는 리스크나 번망기의 바쁨 등을 고려하고, 작부량을 줄이는 케이스도 있어, 충분히 경영 자원을 활용 되어 있지 않은 것이 많다.
매니지먼트의 기본은 가시화
농업은 변동하는 일량에 대응하고, 적절한 경영 자원을 배분하는 것이 어려운 산업이다. 경영 자원을 과대하게 보유하면 고정비가 수익을 압박하게 되고, 경영 자원의 능력을 고려해 안이하게 작부를 줄여 조정하면, 판매액 감소로 수익성이 저하하게 된다.
그럼, 어떻게 경영을 매니지먼트해야할 것인가?
우선 경영 자원 능력에 대해서 일량이 얼마나 있는지, 매월·매주·매일의 활용도를 가시화 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경영 자원의 활용도를 사전에 산출해, 능력의 과부족을 파악하는 것으로, 올바른 경영 판단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능력 과다의 경우는, 번망기가 다른 작물을 추가 생산하는 것으로 판매액을 늘릴 수 있고, 능력 부족의 경우는, 작부 타이밍을 바꾸는, 재배 방법을 바꾸는, 등 다양한 시점으로부터 대응하는 것으로, 경영 자원을 추가 투입하지 않고 판매액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농업에 대해 예측하는 의의란
농업에서는 기후나 토양·해충 등의 환경요인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것이 많기 때문에, 작부 계획 단계에서 수확까지의 일량을 파악하는 것에 의미가 있는 것일까? 그렇다고 하는 논의가 되는 일이 있다. 모처럼 계획해도, 기후로 작업 타이밍이 어긋나거나 해충이 발생해 일이 증가하거나 예정 변경이 상이다. 변경이 되는 것이면, 계획 단계에서 일량을 파악할 필요는 없는 것일까?
대답은, 그 역이다. 변경이 상정되기 때문에, 사전에 일량을 파악해, 「경영 자원의 과부족이 없는가? 」을 확인해 대응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사전에 일량을 파악하는 것으로, 「언제쯤 경영 자원이 부족할까? 」을 인식할 수 있으면, 사전에 그 대응이 가능해져, 보다 효과적으로 효율적인 경영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홋카이도의 대규모 생산자로의 컨설팅 사례를 소개한다. 매년 1월의 작부 계획 단계에서, 작물의 작부일, 작부량, 재배 방법을 결정해, 주차의 일량(작업자, 오퍼레이터, 농업기계, 농업 설비)을 산출해, 임원과 컨설팅 멤버로 사전에 과제를 파악해, 해결책을 검토해 실시했다.
1번째의 과제로서 파종전의 포장 정비로 트랙터의 능력이 부족하는 것을 파악해, 잔업과 경작 작업의 앞당김 착수에 의해, 파종일을 변경하지 않고 작부 계획을 책정할 수 있었다.
2번째의 과제로서 수확시의 일량이 많이 수확 작업이 늦은 것이 상정되었기 때문에, 빠른 단계로부터 아르바이트를 모집해 대응하기로 했다. 또, 아르바이트가 들어와도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작업 표준서를 정비해 지도했다.
3번째의 과제로서 한산기에 작업자와 트랙터의 능력에 여유가 있는 것을 파악했다. 작업자는 한산기의 빈 시간을 활용하고, 전년 수량이 적었던 포장의 쿠사카리 작업을 해 새로운 수량 업을 도모하거나 수확 작업으로 사용하는 자재의 사전 준비화를 도모하거나 해 번망기의 일량을 삭감했다.
본사례와 같이, 사전에 일량과 경영 자원 능력의 활용도를 예측해, 과제 해결책을 검토·실행할 수 있으면, 경영 자원을 유효 활용해 수익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일량을 예측하는 것은, 환경 변화에 의해 일의 타이밍이나 일량이 변동했을 경우에, 어느 정도의 영향도가 있는지를 파악해, 변동에 의한 과제에 대해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전체 최적을 추구해 수익 향상
농업의 수익 향상을 도모하려면 , 번망기나 한산기의 한시기의 일량이나 경영 자원 배분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최적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①일량을 예측해 과제를 사전에 파악해 대응책을 검토.
②대응책은 「작부 타이밍이나 작부량·작부 품종·재배 방법을 변경할 것인가? 」 「경영 자원의 능력을 변경할 것인가? 」 등 다양한 관점으로부터 검토하여 수익성과 환경 변화 리스크 대응 가능성을 평가해 실시.
라는 것이 중요하다.
일량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우선 과거 데이터를 분석해, 재배 패턴별, 재배 공정별로 단위 당 일량과 재배 프로세스별의 소요 기간을 설정한다. 다음에 작부 품종, 작부일, 작부 면적, 작부포장, 재배 패턴을 결정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일량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구조를 구축한다. 복수의 대응안을 검토해, 일량을 시뮬레이션 하면서 전체 최적으로 되는 안을 선택하는 것이 성공의 포인트가 된다.
소유에서 이용으로
경영 자원을 전체 최적 시점에서 매니지먼트 해도, 모든 경영 자원(작업자·농업기계·창고·포장등)을 같은 능력(일량에의 대응도)으로 보유하는 것은 어렵다. 특히 고액의 농업기계를 구입하면, 필연적으로 능력은 높아져, 높은 능력에 대한 일량을 확보 가능한 실활용도는 저하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기계의 감가상각비가 수익성 저하의 요인이 된다.
제조업에서도 수주 생산의 경우, 일량의 계절 변동이 발생해 대응에 고심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조업에서는, 안정되어 있는 일량을 판별해 경영 자원을 보유해, 변동에 대해서는 작업자이면 파견 사원을 이용해, 가공 기계 능력이 부족하는 경우는 외주 사업자를 이용하는 것으로 대응하고 있다.
농업에 대해도 최근, 고액의 농업기계(콤바인등)의 쉐어링 서비스(번망기가 다른 작물이나 에리어의 생산자가 농업기계를 공동 이용)나 재배 공정의 작업 일식을 수탁하는 컨트랙터 서비스가 보급하기 시작하고 있다. 사업 규모 확대의 과정에서 경영 자원의 증가도 필요하지만, 경영 자원을 소유하는 리스크를 이용으로 보완하는 것은, 수익 향상을 도모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 때문에(위해)도 일량을 예측해, 경영 자원의 활용도를 가시화 하고, 어느 정도의 경영 자원을 어떤 수단으로 조달하는지(소유하는지 이용하는 것인가), 어디에 배분하는지를 매니지먼트 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 원문출처 : https://www.jmac.co.jp/column/opinion/014/imai_006.html
문의 : 일본능률협회컨설팅 한국법인(주)
chief consultant 김 영 기
Tel : 02-722-9944 / Fax : 02-725-5997
E-mail : jmackorea@jma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