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개혁의 지혜] 제48회 사업과제를 구조화하다
지금까지 사업 유닛 설정과 사업 평가에 의해 사업과제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았습니다. 이번 회차에서는 과제 전체를 조감 하기 위해 구조적으로 정리하는 생각과 방법에 대해 다루어 보려고 합니다.
사업과제란
경영 개혁의 사업과제는 사업 전체 및 사업 유닛별 전략상 과제와 기능상 과제 2가지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사업과제의 레벨이나 영역의 차이를 구별하여 경영 개혁에 임할 생각입니다.
①전략상 과제
사업 전체의 사업 영역이나 사업 유닛 방향에 수반하는 과제, 사업 유닛별 시장 고객/ 상품 서비스 전략이나 사업 모델에 관련되는 과제.
②기능상 과제
사업 전체 및 사업 유닛의 확판과 비용 개혁에 결합되는 기능(개발, 영업, 생산, 관리 등)별 과제. 또한 경영 개혁에 있어서 사업과제는 현재 상태의 과제 해결이나 장래의 과제 해결 등에 따라 다음 2가지의 성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사업과제의 해결 긴급도,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할 때 필요한 사고 방식입니다
①현재 상태의 사업과제
현시점에서 생각 했던 대로 진행되지 않는 문제나 현상의 경영환경 변화에서 대응할 문제에서 해결 해야 한다고 판단한 사업 문제.
②장래의 사업과제
②장래의 사업과제
장래의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과제로서 장래를 위해 해결해야 한다고 판단한 사업 명제.
개별적으로 추출된 사업과제
지금까지 이야기한 사업 유닛 설정이나 사업 평가를 통해서 인식된 사업과제는 다음 2가지가 있습니다.
①사업 KFS(Key Factors For Success) 과제
사업 KFS 과제란, 시장 고객, 상품 서비스, 경쟁의 사업 특성에서 이끌어 낸 사업 KFS와 현재 상태와의 갭을 이야기하는 사업과제입니다. 사업 KFS와의 관계로 추출된 과제는 사업 평가에서 추출되는 과제와 겹치는데 본질적인 중점 과제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②사업 평가 과제
시장성·경쟁력·수익성의 3가지 관점의 사업 평가에서 본 사업과제입니다. 시장성 평가에서 본 과제는 시장의 매력도(시장의 규모와 성장)와 시장의 환경 변화(기회·위협)에 관계되는 사업과제입니다. 기업 외부에 있는 시장의 움직임과 자사의 시장 대응과의 갭인 사업과제가 추출되고 있습니다.
경쟁력 평가로 본 과제는 사업 KFS를 실현하는 사업 경쟁력의 수준 개혁에 관한 사업과제입니다. 기업 내부에 있는 기능별 과제가 추출되고 있습니다.
수익성 평가로 본 과제는 사업의 수익성 수준(사업의 부가가치나 공헌 이익 수준) 개혁에 관련되는 사업과제입니다. 경영 개혁의 성과면에서 본 사업 구성, 확판, 비용의 개혁 과제가 추출되고 있습니다. 또한 관리 회계 시스템 등 관리면의 개혁 과제도 추출되고 있습니다.
사업과제의 구조화
사업 유닛 설정과 사업 평가에 대해 개별적으로 추출된 사업과제는, 사업과제 레벨이나 영역이 다른 과제가 추출되고 있습니다. 사업상 과제부터 개별 기능상의 과제까지 혼재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관을 가지고 정리하여 구조적으로 조감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단 이미지 참조) 사업과제를 구조적으로 정리해서 전체를 조감함에 따라 다음의 2가지를 가능하게 합니다.
①사업과제의 공통인식
사업 관련 멤버가 사업과제의 구조를 공통 인식해 전체관을 가지고 경영 개혁을 진행시킨다.
②사업 구상 정리
사업 관련 멤버가 사업과제에 대한 유효한 사업 전략이나 기능 전략을 발상한다.
사업과제의 구조화 예
사업과제의 구조화를 어떻게 실시할지에 대해 S사의 사례를 소개합니다. S사는 일일배달 식품메이커를 고객으로 하고 있으며 설비 기계를 제조 판매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다음의 표는 S사의 사업 관련 멤버가 추출한 각각의 사업과제를 정리한 시트입니다.
사업과 기능 양면에서 사업과제를 보이는 것을 염두하여 다음의 흐름으로 사업과제의 구조화 시트를 작성하였습니다.
① 사업과 기능의 분류
사업면은 사업 전체와 BU별로 나눈다. 기능면은 개발·영업·생산·관리의 기능별로 나눈다.
② 사업의 방향성
사업 전체와 BU별 포지셔닝에 근거한 사업 방향을 명시한다.
③ 기능면의 방향성
사업 전체의 방향성과의 관련에 유의하여 기능별 방향성을 명시한다.
④ 각각의 사업과제의 위치 설정
지금까지 BU별로 추출된 각각의 사업과제를 해당하는 BU에 위치를 설정한다. 전략상 과제는 각 BU의 사업란에 위치한다. 기능별 과제는 해당하는 기능과 BU가 관계된 란에 위치한다.
⑤ 사업과제의 음미
사업면과 기능면의 방향을 보고 각각의 사업과제는 적절한지를 음미한다. 예를 들어, 사업의 방향을「유지」내지는 「축소」라고 했는데 개발 기능면에서 「상품개발의 강화」라고 하는 과제가 추출되고 있는 경우는 사업과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⑥ 사업과제의 상호 관계와 중점화
각각의 사업과제가 서로 연관되어 있는 경우에는 연계 과제로 생각한다. 또한 과제의 중점화에 유의한다.
<집필자>
– 시니어 컨설턴트 카미야코 요시야스(神奴 圭康) –
경영 전략·사업 전략, BPR, 경영 관리 컨설팅 경험 다수.
기업 규모와 업종·업태의 특성을 감안해, 클라이언트와 일체가 되어 기업의 경영 과제에 대한 경영 개혁에 동행한다.
「통합 경영 개혁」 , 「BPR에 의한 업무 개혁」외 저서 다수.
– 시니어 컨설턴트 카미야코 요시야스(神奴 圭康) –
경영 전략·사업 전략, BPR, 경영 관리 컨설팅 경험 다수.
기업 규모와 업종·업태의 특성을 감안해, 클라이언트와 일체가 되어 기업의 경영 과제에 대한 경영 개혁에 동행한다.
「통합 경영 개혁」 , 「BPR에 의한 업무 개혁」외 저서 다수.
원본 출처 : 第48回 事業課題を構造化する
문의 : JMAC KOREA 교육연수사업부
Tel : 02-722-9944 / Fax : 02-725-5997
E-mail : jmackorea@jmac.co.kr